올림픽 루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루지는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썰매 경기이다.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혼합 2인승, 팀 계주(혼합 계주) 4개 종목으로 구성되며,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독일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각 국가별 올림픽 위원회에서 선발된 선수들이 참가하며, 대한민국은 대한루지경기연맹이 선수 선발 및 훈련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루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는 2018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2인승, 팀 계주 경기가 진행되었고, 독일이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루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루지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루지 종목은 휘슬러 슬라이딩 센터에서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2인승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조지아 선수 사망 사고로 출발 지점 변경 등의 조치가 있었다. - 올림픽 루지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
2018년 동계 올림픽 루지는 2018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2인승, 팀 계주 경기가 진행되었고, 독일이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루지에 관한 - 2014년 동계 올림픽 루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루지는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2인승, 팀 릴레이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고 러시아 도핑 스캔들이 있었다.
올림픽 루지 | |
---|---|
올림픽 루지 | |
종목 코드 | LUG |
스포츠 | 루지 |
세부 종목 | |
남자 종목 | 1 |
여자 종목 | 1 |
혼합 종목 | 2 |
동계 올림픽 |
2. 역사
루지는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부터 동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당시에는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남자 2인승의 3개 세부 종목으로 시작되었다.
첫 대회에서는 독일 연합 선수단이 금메달 1개를 포함하여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이후 1968년 그르노블 동계 올림픽부터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까지 동독이 6회 연속으로 종합 1위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이 시기 서독,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소련 등도 꾸준히 메달을 획득했다.
독일 통일 이후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부터는 독일 선수단이 참가하여 동독의 성과를 이어받아 루지 최강국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비록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는 이탈리아가 종합 1위를 차지했지만, 이후 대부분의 대회에서 독일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부터는 기존 3개 종목에 팀 계주가 추가되어 총 4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하게 되었다. 2026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세부 종목이 5개로 늘어날 예정이다.
역대 올림픽 루지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독일 | 18 | 10 | 9 | 37 |
2 | 동독 | 13 | 8 | 8 | 29 |
3 | 이탈리아 | 7 | 4 | 6 | 17 |
4 | 오스트리아 | 6 | 8 | 8 | 22 |
5 | 독일 연합 선수단 | 2 | 2 | 1 | 5 |
6 | 서독 | 1 | 4 | 5 | 10 |
7 | 소련 | 1 | 2 | 3 | 6 |
8 | 미국 | 0 | 3 | 3 | 6 |
9 | 러시아 | 0 | 3 | 0 | 3 |
10 | 라트비아 | 0 | 1 | 3 | 4 |
11 | 캐나다 | 0 | 1 | 1 | 2 |
합계 | 41 | 39 | 40 | 120 |
''참고: 독일의 메달 집계는 통일 이후의 기록이며, 동독, 서독, 독일 연합 선수단의 기록은 별도로 집계된다.''
2. 1. 대한민국 루지 역사
대한민국은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 3명의 선수가 참가하며 처음으로 올림픽 루지 종목에 출전했다.[5] 이후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는 3명,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과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는 각각 1명의 선수가 참가했다.[5]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는 4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남자 2인승 종목에 출전한 박진용, 조정명 조가 18위를 기록했다.[5]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역대 가장 많은 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5] 에일린 프리쉐, 박진용, 조정명, 임남규 선수로 구성된 대한민국 팀은 팀 계주 종목에서 9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3. 경기 종목
동계 올림픽 루지 경기는 현재 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혼합 2인승, 팀 계주(혼합 계주)의 4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된다. 각 종목의 올림픽 도입 시기는 아래 표와 같다.
종목 | 첫 도입 년도 | 비고 |
---|---|---|
남자 1인승 | 1964년 | |
여자 1인승 | 1964년 | |
혼합 2인승 | 1964년 | 1972년 대회에서 공동 금메달 수여. |
팀 계주 (혼합 계주) | 2014년 | [4] |
여자 2인승 | 2026년 (예정) | [4] |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서 3개 종목(남자 1인승, 여자 1인승, 혼합 2인승)이 처음 도입되었고,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팀 계주가 추가되었다.[4] 2026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2인승 종목이 신설될 예정이다.[4]
3. 1. 남자 1인승
남자 1인승 루지는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부터 동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 종목은 1964년 대회부터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모든 동계 올림픽에서 개최되었다.3. 2. 여자 1인승
여자 1인승 종목은 1964년 동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후 2022년 동계 올림픽까지 매 대회마다 꾸준히 열리고 있다. 경기 방식은 남자 1인승과 동일하게 진행된다.3. 3. 혼합 2인승
혼합 2인승 종목은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까지는 성별 구분 없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오픈 2인승'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팀은 이틀에 걸쳐 총 2번의 주행을 하며, 두 번의 주행 시간을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에서는 2인승 경기에서 공동 금메달이 수여된 바 있다. 2인승 종목은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총 16번 개최되었다.[4]
3. 4. 팀 계주 (혼합 계주)
팀 계주(혼합 계주) 종목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4] 이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과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도 경기가 열렸다.경기는 여자 1인승, 남자 1인승, 2인승 순서로 주자가 차례대로 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앞선 주자가 썰매를 타고 내려와 결승선에 위치한 터치 패드를 치면, 해당 신호가 출발선의 게이트로 전달되어 다음 주자가 자동으로 출발하게 된다. 모든 주자의 시간을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4.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아래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의 올림픽 루지 종목 메달 집계이다.
순위 | 국가·지역 | 금 | 은 | 동 | 합계 |
---|---|---|---|---|---|
1 | 독일 (GER) | 22 | 12 | 9 | 43 |
2 | 동독 (GDR) | 13 | 8 | 8 | 29 |
3 | 이탈리아 (ITA) | 7 | 4 | 7 | 18 |
4 | 오스트리아 (AUT) | 6 | 10 | 9 | 25 |
5 | 독일 연합 (EUA) | 2 | 2 | 1 | 5 |
6 | 서독 (FRG) | 1 | 4 | 5 | 10 |
7 | 소련 (URS) | 1 | 2 | 3 | 6 |
8 | 미국 (USA) | 0 | 3 | 3 | 6 |
9 | 러시아 (RUS) | 0 | 3 | 1 | 4 |
10 | 라트비아 (LAT) | 0 | 1 | 4 | 5 |
11 | 캐나다 (CAN) | 0 | 1 | 1 | 2 |
합계 | 52 | 50 | 51 | 153 |
-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의 2인승 종목에서는 공동 1위가 나와 2개의 금메달이 수여되었고, 은메달은 수여되지 않았다.
- 대한민국은 아직 올림픽 루지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5. 참가 선수
국가/지역 / 연도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 참가 횟수 | |
---|---|---|---|---|---|---|---|---|---|---|---|---|---|---|---|---|---|
아르헨티나 | 1 | 1 | 1 | 2 | 1 | 1 | 1 | 7 | |||||||||
오스트레일리아 | 1 | 1 | 1 | 1 | 1 | 1 | 6 | ||||||||||
오스트리아 | 9 | 9 | 8 | 7 | 10 | 7 | 7 | 7 | 8 | 8 | 10 | 10 | 9 | 10 | 10 | 15 | |
버뮤다 | 1 | 1 | 1 | 1 | 4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 | 1 | 2 | ||||||||||||||
브라질 | 2 | 2 | |||||||||||||||
불가리아 | 3 | 3 | 2 | 1 | 2 | 1 | 1 | 7 | |||||||||
캐나다 | 1 | 7 | 4 | 8 | 4 | 2 | 9 | 6 | 2 | 2 | 7 | 10 | 10 | 8 | 8 | 15 | |
중화 타이베이 | 2 | 3 | 2 | 2 | 2 | 1 | 1 | 1 | 1 | 9 | |||||||
크로아티아 | 1 | 1 | |||||||||||||||
체코 | 2 | 4 | 4 | 4 | 6 | 5 | |||||||||||
체코슬로바키아 | 6 | 6 | 4 | 3 | 3 | 2 | 4 | 7 | |||||||||
동독 | 8 | 9 | 9 | 9 | 10 | 10 | 6 | ||||||||||
에스토니아 | 1 | 2 | 2 | ||||||||||||||
프랑스 | 5 | 1 | 1 | 1 | 3 | 3 | 1 | 1 | 8 | ||||||||
조지아 | 2 | [5] | 1 | 3 | |||||||||||||
독일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8 | ||||||||
영국 | 2 | 2 | 6 | 4 | 7 | 4 | 4 | 2 | 1 | 1 | 2 | 1 | 2 | 13 | |||
그리스 | 2 | 1 | 2 | ||||||||||||||
인도 | 1 | 1 | 1 | 1 | 1 | 5 | |||||||||||
독립 참가 선수단 | 1 | 1 | |||||||||||||||
이탈리아 | 7 | 9 | 9 | 8 | 9 | 9 | 9 | 8 | 8 | 10 | 10 | 9 | 8 | 10 | 9 | 15 | |
일본 | 7 | 5 | 2 | 4 | 5 | 3 | 3 | 6 | 4 | 5 | 3 | 1 | 12 | ||||
카자흐스탄 | 1 | 1 | 2 | ||||||||||||||
라트비아 | 6 | 8 | 10 | 8 | 8 | 10 | 9 | 10 | 8 | ||||||||
리히텐슈타인 | 3 | 3 | 1 | 3 | 2 | 1 | 1 | 1 | 8 | ||||||||
몰도바 | 1 | 1 | 1 | 1 | 4 |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1 | 1 | |||||||||||||||
뉴질랜드 | 1 | 1 | 2 | ||||||||||||||
노르웨이 | 4 | 2 | 3 | 7 | 2 | 2 | 3 | 3 | 8 |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 | 1 | 1 | |||||||||||||||
필리핀 | 1 | 1 | |||||||||||||||
폴란드 | 8 | 9 | 8 | 8 | 2 | 2 | 2 | 3 | 2 | 5 | 6 | 11 | |||||
푸에르토리코 | 1 | 2 | 2 | ||||||||||||||
루마니아 | 4 | 3 | 1 | 3 | 4 | 3 | 4 | 4 | 7 | 2 | 5 | 11 | |||||
러시아 | 8 | 7 | 10 | 10 | 10 | 10 | 6 | ||||||||||
슬로바키아 | 2 | 1 | 4 | 6 | 5 | 6 | 5 | 7 | |||||||||
슬로베니아 | 1 | 1 | 1 | 3 | |||||||||||||
대한민국 | 3 | 3 | 1 | 1 | 4 | 5 | 6 | ||||||||||
소련 | 7 | 6 | 7 | 10 | 10 | 5 | |||||||||||
스페인 | 4 | 1 | 1 | 3 | |||||||||||||
스웨덴 | 5 | 5 | 4 | 2 | 2 | 3 | 5 | 3 | 2 | 9 | |||||||
스위스 | 9 | 2 | 1 | 1 | 2 | 2 | 2 | 2 | 1 | 9 | |||||||
통가 | 1 | 1 | |||||||||||||||
우크라이나 | 3 | 6 | 4 | 6 | 6 | 6 | 6 | 7 | |||||||||
독립국가연합 | 10 | 1 | |||||||||||||||
독일 단일팀 | 9 | 1 | |||||||||||||||
미국 | 9 | 8 | 10 | 9 | 10 | 9 | 10 | 9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5 | |
베네수엘라 | 1 | 4 | 1 | 3 |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1 | 2 | 2 | 1 | 2 | 5 | |||||||||||
서독 | 8 | 10 | 8 | 7 | 8 | 7 | 6 | ||||||||||
유고슬라비아 | 3 | 2 | 2 | ||||||||||||||
참가 국가 및 지역 수 | 12 | 14 | 13 | 16 | 14 | 17 | 22 | 22 | 25 | 24 | 26 | 24 | 24 | 24 | 24 |
6. 올림픽 루지 종목 한국 관련 추가 정보
대한민국은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 선수 3명을 파견하며 처음으로 올림픽 루지 종목에 참가하였다. 이후 꾸준히 올림픽 무대에 도전하여,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는 3명,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과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는 각각 1명,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는 4명, 그리고 안방에서 열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5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특히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홈 이점을 살려 팀 계주 종목에서 9위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달성했다. 비록 올림픽 메달 획득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이는 대한민국 루지 종목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받는다.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대한민국 내 루지 종목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Luge
http://corporate.oly[...]
Australian Olympic Committee
2018-02-16
[2]
웹사이트
Women & the Winter Olympics
http://www.topendspo[...]
topend sports
2018-02-16
[3]
웹사이트
Qualification Systems for XXIII Olympic Winter Games, PyeongChang
http://www.fil-luge.[...]
fil-luge.org
2018-02-16
[4]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2-20
[5]
문서
2人の選手が出場する予定であったが、[[ノダル・クマリタシビリ]]が大会公式練習中に事故死し、それを受けて{{仮リンク|レヴァン・グレシゼ|en|Levan Gureshidze}}も出場を辞退した。
[6]
웹인용
루지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